반응형
2025년 2월 10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존 특정 국가 대상의 관세 정책에서 확대된 조치이며, 예외나 면제 없이 전 국가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한국의 영향
한국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철강 제품에 대해 무관세 대신 수출 물량을 제한하는 쿼터제를 적용받아 왔습니다. 현재 연간 263만 톤까지 무관세 혜택을 받지만, 이번 발표로 인해 추가적인 관세 부담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한국의 관세 정책과 비교
한국의 평균 관세율은 약 **4.8%**로, 일본(3.5%)보다 높지만 미국(13.8%)보다는 낮은 수준입니다. 또한, 한국은 **자유무역협정(FTA)**을 적극 활용하여 특정 국가로부터 수입되는 제품의 관세를 감면하거나 면제하고 있습니다.
주요 수입품목별 한국 관세율 예시
- 철강 및 금속류: 약 3~8%
- 자동차 및 부품: 8% (일부 FTA 국가 무관세)
- 농산물: 10~30% (FTA에 따라 인하)
FTA 체결 국가에서 수입된 제품의 관세율은 협정별로 다르게 적용되며, 정확한 정보는 관세청 FTA 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세청 FTA 포털에서 더 알아보기
결론
미국의 이번 관세 정책은 한국을 포함한 주요 철강 수출국에 무역 장벽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한국은 다양한 FTA를 통해 수입 관세를 낮추며 무역 촉진 전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은 미국 수출에 대한 대응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과 새 협정: 이러다 한국이... (1) | 2025.03.17 |
---|---|
트럼프 정책과 트럼프의 성장 배경의 연관성?! (1) | 2025.03.06 |
2025년 국민연금 수령액 & 보험료 인상! 얼마나 오를까? (0) | 2025.02.10 |
2025년 트럼프 관세의 모든 것 (3) | 2025.02.08 |
2025년 트럼프 정부 미국 정책 전망 (1) | 2025.02.03 |